728x90
Get | Post |
실패 시 될 때까지 반복 | 실패 시 반복하지 않음 |
캐시 가능 | 캐시 불가능 |
히스토리에 남음 | 히스토리에 남지 않음 |
북마크 될 수 있음 | 북마크 될 수 없음 |
파라미터 노출 됨 | 파라미터 노출 안됨 |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웹페이지 접속을 시도해도 접속이 되지 않는다.
그러다 인터넷 연결이 다시 된 경우, 페이지가 자동으로 새로고침 되는 경우가 있지 않은가?
이런 경우 Get이 쓰였다고 생각하면 편하겠다.
Get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리소스로부터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서드.
Get은 오직 데이터를 read할 때만 사용되고 수정할 때는 사용되지 않는다. ▶ 데이터 변형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파라미터가 노출되므로,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면 안된다.
Post
리소스 생성·업데이트하기 위해 서버에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되는 메서드.
데이터가 HTTP의 Body로 전송되고, 내용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 ▶ 보안적인 면에서 Get 방식 보다 안전.
그러나,
특정 툴을 이용하여 충분히 요청 내용을 확인할 수 있기에, 민감한 데이터의 경우 반드시 암호화해 전송해야 함.
728x90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상태 코드 정리 (2) | 2023.08.05 |
---|---|
HTTP의 특징 및 쿠키, 세션, 캐시 비교 (0) | 2023.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