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 JAVA Eclipse 자바 이클립스 디버깅하는 방법

나는나는용 2023. 4. 1. 05:37
728x90

학교에서 배우길, 디버깅 잘하는 사람이 진짜 코딩 잘하는 사람이랬다.

 

진짜 코딩 잘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조약돌만한 징검다리라도 하나 놓기 위해, 이 게시물을 쓰며 공부해보겠다.

 

먼 저,

1. BreakPoint 브레이크 포인트 지정

내가 자세히 보고싶은 라인(부분)의 줄 넘버의 왼쪽 빈 공간더블클릭한다.

형광펜 부분처럼 파란동그라미가 뿅!

2. 벌레(Debug)를 클릭 / Run → Debug / F11 

셋 중 아무거나 하고싶은 대로 디버깅모드를 실행한다.

3. 디 ~ 버 ~ 그 ~ ing ~

입력받는 부분이 있다면 입력해줄거는 그대로 해주고,

입력받는 부분이 없고 그냥 실행하는 코드라면 지켜보면 된다.

 

이제 얘가 알아서 우리가 브레이크포인트를 걸어둔 부분에서 딱!!!! 멈출 것이다.

 

 

어랏❗❓ 근데 요상한 화살표들에 노란 불이 들어왔다.

이 친구들이 뭐하는 애들인지, 자주 쓰게 될 친구들에 대해 알아보자.

 

 

Step Into : 스텝 인투 : [F5] 

한줄씩 진행하고, 함수 안이면 함수 안으로 들어간다.

Step Over : 스텝 오버 : [F6]

한줄씩 진행하기는 하는데, 함수 호출은 안들리고 넘어간다.

Step Return : 스텝 리턴 : [F7]

현재 함수 끝으로 바로 가서 리턴한 후, 함수를 호출한 곳으로 돌아간다.

 

Drop to Frame : 드롭 투 프레임

함수를 처음부터 다시 실행한다.


Resume : 리썸 : [F8]

걸어둔 다음 브레이크 포인트 지점으로 넘어간다.

 

Suspend : 서스펜드

현재 작동중인 쓰레드를 멈춘다.

 

Terminate : 터미네이트 : [Ctrl + F2]

 

 

활용하기

- Variables

Window Show View Variables 를 눌러주면 변수들의 값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또한 저기저 왼쪽에 > 꺽쇠를 열고 열어서 변경하고자 하는 값을 더블클릭하면

요렇게 예를 들어서 0에서 2로 값을 바꿔줄 수도 있댄다.

 

- Expressions

추가적으로 내맘대로 확인하고 싶은 값이 있다면, 초록색 십자가 버튼을 눌러서 추가해줄 수도 있다.

728x90